오늘은 아마존에서 물건을 구입했는데,

배송이 안오거나 배송 받은 물건에 문제가 있거나 혹은 기타 다른 사항으로 고객센터에 문의를 해야할 때

어떻게 하는 지를 알아보겠습니다.

 

먼 미국 땅에 있는 아마존 고객센터에는 어떻게 연락하면 될까요?

미국 아마존 근무 시간에 맞추어서 연락해야할까요?

전화를 해야할까요?

영어를 못하는데 어떻하지요?

 

아마 이런 걱정들로 아마존 직구할 때 문제가 생기거나 문의 사항이 있어도 쉽사리

고객센터 연락을 못하신 분들도 많이 계실 겁니다.

 

그런데, 걱정하지 마세요.

미국 아마존의 고객센터 직원분들은 우리의 콩글리쉬를 매우 잘 이해하고 있고

뿐만 아니라 구글을 비롯한 여러 곳에서 번역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미국 아마존 고객센터에 연락하는 방법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전화가 아닌 실시간 채팅으로!

 

2. 24시간 언제든지 연락 가능!

 

3. 구글 번역만 있으면 웬만한 의사소통 가능!

 

그럼 이 부분에 대해 조금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만약, 주문하신 상품에 대한 문의가 있으시다면

먼저 주문 번호를 확인해야 합니다.

 

 

1. 주문 번호 확인하기

 

 

 

▲ 빨간 박스를 클릭해주세요.

 

이젠 익숙하시지요?

로그인 하시고 'Order'를 클릭해주세요.

 

 

 

▲ 빨간 박스의 'ORDER #' 이라고 쓰여진 부분에 있는 숫자들이 주문 번호입니다.

 

이 주문 번호를 기억해두세요. 컴퓨터 메모장에 붙여놓으셔도 좋습니다.

 

 

2. 고객센터 문의 하기

 

이제는 아마존의 고객센터를 찾아가야 합니다.

아마존 화면에서 스크롤을 밑으로 쭉 내리셔서 가장 아래로 내려가 주세요.

 

 

 

▲ 빨간 박스의 'Help'를 클릭해주세요.

 

파란 바탕의 메뉴판이 보이실텐데요. 빨간 박스의 'Help'를 클릭해주세요.

 

 

 

▲ 빨간 박스의 'Need More Help'라는 글자 위에 마우스를 올려주세요.

그런 다음 새롭게 뜨는 우측 창에서 'Contact Us'를 클릭해줍니다.

 

 

 

▲ 최근 주문했던 내역이 보이네요.

조금 아래 부분의 'Select an issue' 부분에서 화살표를 클릭해주세요.

그런 다음 'More order issues'를 클릭해줍니다.

 

 

 

 

▲ 그럼 바로 아래 새롭게 'Select issue details'가 뜨는데요.

여기서 다시 화살표를 클릭하시고, 'Other order question or issue'를 클릭합니다.

 

 

조금 복잡해보이지요?

조금만 힘내세요. 이제 다왔습니다. : )

 

 

▲ 새롭게 메뉴가 생기는데 거기서 'Phone'말고,

'Chat'을 클릭 해줍니다.

 

 

그러면 새로운 창이 뜨게 됩니다.

이게 바로 고객센터 채팅창입니다.

 

 

'E-mail a transcript of this chat to (여러분 이메일 주소)' 부분을 체크해주세요.

(고객센터의 대화 내용을 상담이 끝나면 여러분의 이메일로 보내주는 겁니다.

고객센터 상담이 끝나고 추후에 확인할 수 있어서 유용합니다.)

 

그리고 'Start chat' 버튼을 클릭합니다!

 

 

 

▲ 그러면 이렇게 노란 원이 돌아가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조금만 더 기다리면...

 

 

 

▲ 고객센터 채팅창이 열립니다.

아래 빈칸에 대화 내용을 입력하고 'Enter'키를 누르시거나 'Send' 버튼을 누리시면 입력이 됩니다.

 

여기서 아마 상품에 대한 문의를 하게되면

상담사는 무엇보다 먼저 주문 번호를 물어볼텐데요.

아까 확인했던 그 숫자들을 알려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본격적인 상담이 시작됩니다.

 

그리고 모든 상담이 끝나면 좌측 상단의 'End Chat' 버튼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사실 그냥 화면을 끄셔도 됩니다.

 

그런데 저는 'End Chat' 버튼을 클릭하고 나면 상담에 대한 평가를 하게 되어 있는데

필히 평가를 합니다. 물론 대부분 좋은 점수로 합니다.

이해하기 어려운 콩글리쉬도 이해해주려 애쓰고, 24시간 언제든 상담을 해줘서

작은 감사의 표시 하는 마음으로 합니다.

 

 

3. 영어로 대화하기

 

앞서 말씀드렸듯이 우리는 영어로 대화를 해야합니다.

물론 영어 실력이 뛰어나신 분들은 상관이 없으시겠지만

저와 같은 영어에 울렁증이 있으신 분들에겐 이건 영어 시험 치는 것과도 같은 겁니다.

이때 우리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이트가 있습니다.

 

바로 '구글 번역'입니다.

검색창에 '구글 번역'이라고 치시면 됩니다.

 

다른 번역 사이트도 많이 있습니다. 그런데 저는 그냥 구글 번역이 익숙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어떤 사이트든 상관 없습니다.

 

번역 사이트를 이용하실 때 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문장은 간결하게!

 

2. 문장은 짧게!

 

3. 문장은 간단하게!

 

다 같은 말이지요?

 

최대한 짧게 문장을 쓰시고 번역을 하셔야 정확도가 올라갑니다.

문장이 길어지면, 내가 원하는 뜻으로 번역이 잘 안되더라고요.

(물론 요즘 기술이 좋아서 잘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번역된 말은 복사하셔서 채팅창에 붙여 넣으시면 됩니다.

 

그런 다음 상담사가 나의 문장에 대한 답을 하면

그걸 복사하셔서 다시 번역 사이트에 붙여 넣으시면 됩니다.

 

간혼 한글로 번역되었는데도 이해가 안간다면,

이렇게 말하시면 됩니다.

 

pardon? would you please say easily again?

(뭐라고 하셨죠? 다시 쉽게 말씀해주실래요?)

 

그러면, 조금 더 쉽게 다시 설명해줍니다.

 

이런 식으로 대화를 이어가시면 됩니다.

사실 매우 번거롭게 힘든 과정인데요.

그런데 직구를 하다보면 어떤 경우에는 고객센터에 문의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가 꼭 발생합니다.

 

저도 직구를 하면서 잊을만 하면 한번씩을 고객센터에 문의를 해서

의도치 않게 영어 공부를 합니다.

 

하지만, 고객센터의 대응이 매우 좋기 떄문에

충분히 해볼만한 수고로움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러니, 혹시라도 직구 하시면서 문제가 생긴다면 필히! 고객센터에 연락해보세요!

 

 

4. 자주 사용되는 문장을 영어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하는 마음으로

제 직구 경험한 자주 사용되는 문장을 영어로 알려드리겠습니다.

 

- 트래킹 번호 알고 싶을 때

My order number is (주문번호).

Would you tell me the tracking number?

 

- 주문한 것과 다른 상품을 배송 받았을 때

My order number is (주문번호). 

I ordered (주문 상품명) but I received the wrong item.

 

- 배송 받은 상품이 파손되거나 문제가 있었을 때

My order number is (주문번호). 

I recived a damaged item for my order.

 

- 배송 받을 주소를 잘못 입력했을 때

My order number is (주문번호).

There is a problem with the shipping address. Would you like to change to the address below?

(새롭게 받을 배송주소)

 

- 언제쯤 배송이 되는지 궁금할 때

My order number is (주문번호).

Please let me know what the estimated delivery day would be.

 

 

이번에는 이정도로 정리하겠습니다.

추후에 기회가 되면 조금 더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아마존 고객센터 연락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은

이상으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답변 드리겠습니다.

 

 

 

 

 

 

 

 

 

 

 

 

 

 

정말 오랜 만에 글을 씁니다.

최근에 일도 많고 연휴까지 겹치다 보니 한동안 뜸했습니다.

긴 연휴 다시 출근하는게 힘이드네요. 모두 힘내세요!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오늘 글의 주제는 '배대지 이용하기'입니다.

 

배대지가 무엇일까요?

배대지 = '배송대행지'의 줄임말입니다.

 

배송대행지는 이름 그대로 배송을 대행해주는 곳을 말합니다.

한국에서야 어떤 물건을 구입하면 판매자가 배송 업체와 계약을 맺고 바로 배송을 해주다보니 이런 말은 흔히 사용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한국이 아닌 외국에서 물건을 구입하게 되면, 상황이 달라집니다.

 

만약 미국 아마존에서 물건을 구입한다면, 물건을 배송 받는 데 두 가지 상황이 생기게 됩니다.

 

미국 아마존에서 바로 한국의 우리 집으로 배송 받기

이런 배송 형태를 '직배송'이라고 부릅니다.

제가 가능하면 항상 추천 드렸던 배송 방법입니다.

 

미국 아마존에서 미국 배대지로 배송하고, 미국 배대지에서 한국의 우리 집으로 배송 받기

이런 배송 형태가 바로 '배대지'를 이용한 배송입니다.

 

정리하면,

 

'미국' 아마존 -> '한국' 우리 집

 

'미국' 아마존 -> '미국' 배대지 -> '한국' 우리 집

 

 

배대지를 이용하는 이유 또한 두 가지 입니다.

 

직배송이 안되어서

 

직배송 비용보다 저렴해서

 

이런 이유로 직구를 하실 때 배대지를 이용하게 됩니다.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배대지 이용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1. 배대지 선택하기

 

아마 아마존 직구를 해보신 분들이라면, 입문하신지 얼마 안되셨더라도

수많은 배대지 업체들의 광고와 이야기들을 들어보셨을 텐데요.

 

현재 미국만 보더라도 수많은 배대지 업체들이 있습니다.

초대형 업체도 있고 이제 막 생긴 업체도 있습니다.

 

검색 포털에 '미국 배대지'라는 검색어만 입력해도 수많은 배대지들이 나오는데, 그럼 도대체 어떤 배대지를 이용해야 할까요?

 

제가 추천드리는 건.

처음 배대지를 이용하신다면 조금 큰 업체들을 이용하라는 것입니다.

 

사실, 제 경험에 미루어 보면 어느 배대지도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한국에서도 택배 박스가 조금이라도 상하면 가슴 아픈데, 한국도 아닌 먼 이국 땅에서 적잖은 돈으로 오랜 시간을 드려 구입한 물건에 대한 애착은 얼마나 클까요? 그런데, 배대지의 직원분들은 우리의 마음과 많이 다릅니다.

그 분들은 그냥 일입니다. 수많은 택배 박스들 앞에서 쫓고 쫓겨서 일을 하십니다. 그래서 우리가 애지 중지 하는 것만큼 신경써주지 않습니다. 결코 그렇지 않더라고요.

 

포장 부실, 늦은 배송, 심지어는 택배 분실 등 심각한 문제들이 모든 배대지(크든 작든, 유명하든 그렇지 않든)에서 발생합니다.

이게 제 경험과 주변 지인들 그리고 온라인 커뮤니티 분들의 공통된 의견입니다.

 

만족스러운 배대지를 찾기는 하늘에 별따기이고 괜찮은 배대지도 상황에 따라 문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런 가운데서 그럼에도 크고 유명한 배대지를 권유 드리는 것은

새롭게 생긴 배대지나 작은 배대지와 비교해서 크고 유명한 배대지들은

 

나름대로 깔끔하고 쉬운 배대지 이용 설명을 해놓은 홈페이지,

그나마 연락이 잘되는 고객센터 때문입니다.

 

사실, 배대지 선택하는 부분은 철저히 개인의 선택입니다.

워낙에 배대지가 많기도 하고 제가 모두 이용해 보지 못했기 때문이며, 또한 같은 배대지여도 이용한 분들의 의견이 모두 제각각이기 때문입니다.

 

이건 뭐 거의 케이스 바이 케이스 수준입니다.

그래서 마음 편히 원하시는 곳을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정리하면,

 

가능하다면, 크고 유명한 배대지를 이용하기

 

그런데 결코 강요는 아닙니다.

 

 

 

2. 배대지 가입하기

 

이건 따로 설명 드리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미국 배대지를 검색하셔서 원하시는 업체의 홈페이지에 들어가신 후

그냥 가입하시면 됩니다.

 

일반적인 인터넷 사이트 가입하는 것과 동일합니다.

 

 

 

3. 아마존에 배대지 주소 입력하기

 

이 부분이 중요합니다.

 

배대지에 가입하셨다면, '개인사서함 번호 및 주소'를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배대지 업체 홈페이지의 상단이나 개인 정보 란에 있습니다.

 

C.A. / N.J. / D.E. / O.R.라는 미국의 주 이름과 함께 영문 주소와 숫자가 적혀 있습니다.

 

그 주소가 바로 여러분이 가입하신 배송 대행 업체의 미국 주소입니다.

그리고 주소가 아닌 영문과 숫자로 적힌 6~8글자의 단어는 바로 여러분의 사서함 번호입니다.

 

쉽게 설명한다면, 미국 배대지에 물건이 도착했을 때 6~8글자의 영문과 숫자 단어를 통해서 여러분의 물건인지를 확인하는 개인 고유의 번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아마존에 주소를 입력하기 전에 한가지를 설명 드리겠습니다.

 

앞서 배대지에서 주소를 확인하면서 'C.A. / N.J. / D.E. / O.R.' 등을 보셨을 텐데요.

 

C.A = 캘리포니아

N.J = 뉴저지

D.E = 델라웨어

O.R = 오레곤

 

배대지 업체들은 보통 위의 네 개 주(State)에 창고를 세워두고 물건을 받습니다.

 

한 곳이 아닌 네 곳이나 창고를 세워둔 것은 각 주마다 장단점이 있기때문인데요.

배대지를 이용하는 우리도 장단점을 파악하고 이용하게 되면 더욱 더 저렴하고 빠른 배송을 받을 수 있습니다.

 

먼저, 세금 부분입니다.

 

미국의 주는 각 주마다 세금이 다릅니다.

그래서 어느 주의 배대지로 물건을 보내느냐에 따라 세금이 면제 되기도 하고 세금이 부과되기도 합니다.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주

 세금 없는 품목

세금 부과 품목

 캘리포니아(C.A)

 식품

 그 외 8%

 뉴저지(N.J)

 의류, 신발, 비타민, 커피

 그 외 7%

 델라웨어(D.E)

 모든 품목

 없음 

 오레곤(O.R)

 모든 품목

 없음 

(* 모바일 여러분, 옆으로 밀어주세요.)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구입한 상품에 대해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 주로 보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세금만 고려하면 맘이 편하겠지만, 또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바로 배송 기간에 대한 것입니다.

 

미국은 한국에 비해 땅이 워낙에 넓다보니, 어느 주로 보내느냐에 따라 한국의 우리 집으로 오는 시간이 많이 차이가 나기도 합니다.

 

이 부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배송 속도

 캘리포니아(C.A)

 빠름

 뉴저지(N.J)

 빠름

 델라웨어(D.E)

 느림

 오레곤(O.R)

 느림

 

어느 정도 정리가 되셨지요?

식품과 의류, 신발, 비타민, 커피는 무조건 캘리포니아와 뉴저지 보내는 것이 좋습니다.

세금도 면제이고 뿐만 아니라 배송도 빠르기 때문이죠.

 

하지만 그 외에 제품들에 대해서는 세금이냐 배송 속도냐의 문제를 놓고 경중을 따져서 구입하셔야 합니다.

저의 경우에는 맘편히 기다리자라는 생각으로 오레곤이나 델라웨어로 보냅니다.

 

이런 특징을 기억하시고

이제 아마존으로 들어가보겠습니다.

 

 

 

▲ 빨간 박스 부분에 마우스를 올려주세요.

 

 

 

▲ 'Your Account'를 클릭해주세요.

 

 

 

▲ 'Your Addresses'를 클릭해주세요.

 

 

 

▲ 'Add Address'를 클릭해주세요.

 

 

 

▲ 이 부분이 중요합니다.

 

조금 전에 가입하신 배대지 홈페이지 화면을 다시 열어주세요.

그리고 확인했던 배대지의 미국 주소를 찾아주세요.

요즘에는 대부분의 배대지들이 정말 친절하게 미국 쇼핑몰에 배대지 주소를 어떻게 입력해야하는지 설명해줍니다.

 

이전에는 한국의 우리 집 주소를 입력했던 칸에 이제는 미국 배대지 주소를 입력합니다.

 

Full name : 영문 이름

Street address :2개 칸이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윗 칸을 'STREET ADDRESS 1' 아래 칸을 'STREET ADDRESS 2'이라고 합니다.

배대지에서 1번과 2번에 각각 무엇이라 입력하면 되는 설명해 놓습니다.

City : 배대지가 있는 도시 이름

State / Province / Region : 배대지가 있는 주 이름

Zip Code : 배대지가 있는 곳의 우편 번호

Phone number : 배대지의 연락처

 

위의 입력해야 하는 모든 항목들은 배대지에서 알려주는 그대로 입력하시면 됩니다.

특히, 'STREET ADDRESS 2'에 입력되는 항목은 배대지에서 여러분의 고유 이름과도 같은 것이니, 필히 잘 입력해주세요.

 

모두 입력하셨다면, 가장 아래에 있는 'Add address'를 클릭해주세요.

 

좋은 방법은 가입하신 배대지에서 제공하는 모든 배대지 주소를 입력해두는 것입니다.

 

3개 혹은 4개 주의 주소를 제공한다면, 모두 입력해두시고

상품을 구입하실 때, 면세가 되는지 배송 속도는 어떤지를 고려하셔서

배송 주소를 선택하면 됩니다.

 

 


 

 

여기까지 하셨으면, 이제 배대지를 이용해서 구입해야 하는 제품을 구입하시고,

적절한 배대지 주소를 선택하시고 결제하시면 됩니다.

 

그런 다음에는 배대지에서 배송 대행 신청서를 작성해주시면 되는데요.

이 부분은 크고 유명한 배대지들에서는 자동 입력 기능이 있거나 없더라도 친절하고 자세하게 설명을 해놓아서

따로 설명은 드리지 않겠습니다.

 

하지만, 필히 기억하셔야 하는 것은

아마존에서 배대지 주소로 주문을 하신 후에는

꼭! 배대지에 배송 대행 신청서를 작성해주셔야 한다는 점입니다.

 

앞서 설명드린대로 따라 오신다면, 배대지 이용의 기본은 모두 배우신 것입니다.

 

그럼 오늘 글은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질문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답변 드리겠습니다. : )

 

 

 

 

 

 

 

 

 

 

 

 

 

 

 

지난 글(EBATES(이베이츠) 미국 가입하기(feat. 캐시백))에서 이베이츠 미국 가입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 드렸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이베이츠 미국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이용 방법은 아주 간단한데요.

 

먼저, EBATES(이베이츠) 미국 사이트에 로그인을 해주세요.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 좌측 상단에는 '가입한 이메일 주소', '지금까지 적립된 캐시백'이 표시 됩니다.

그 바로 아래에 있는 'Amazon'을 클릭해주세요.

 

 

 

 

▲ 좌측에 초록 글씨로 'Cash Back Categories(카테고리별 캐시백)'이 설명되어 있습니다.

기억하셔야 하는 건, 캐시백 적립 카테고리에 해당하지 않는 상품은 캐시백이 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바로 위에 'Shop Now'를 클릭해주세요.

 

 

 

 

▲ 새로운 창이 뜨면서 이런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아마존으로 이동하기 전에 다시금 캐시백 적립 설명을 해주는 페이지 입니다.

그냥 기다리시면 됩니다. : )

 

 

 

 

▲ 그럼 우리에게 익숙한 아마존 홈페이지가 열립니다.

여기서 이제 구입하고자 하시는 상품을 검색하시고 구입하시면 됩니다.

캐시백으로 자동으로 됩니다.

 

끝입니다.

정말 간단하지요?

 

그런데, 한 가지 주의하실 부분이 있습니다.

 

혹시라도 인터넷 창을 끄셨다면,

필히 앞서 말씀드린 방법대로 '다시 이베이츠로 로그인하시고 아마존으로' 들어오셔야 합니다.

 

 


 

추가적으로 확인하시면 좋을 것들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이베이츠에서 아마존으로 넘어가기 전에 카테고리별 캐시백을 설명해주던 페이지에서

화면을 아래 쪽으로 내려보시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 'Amazon Coupons, Promo Codes & Cash Back' 부분에서 쿠폰, 할인코드 등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일정 기간이 지나면 갱신되는 부분이기때문에 한번 씩 확인해보시고, 구입하고자 하는 상품이 해당되면 추가 할인을 받으시면 됩니다.

 

 

조금 더 화면을 내려보겠습니다.

 

 

▲ 'Product Deals' 이 부분에서는 특정 상품에 대한 할인을 소개해주는 부분입니다.

여기서도 조금 전과 동일하게 일정 기간이 지나면 갱신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한번 씩 확인해보시고

구입하고자 하는 상품이 해당되면 추가 할인을 받으시면 됩니다.

 

 

네, 여기까지가 EBATES(이베이츠) 미국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이미 보셔서 아시겠지만 EBATES(이베이츠)에는 아마존 말고도 여러 쇼핑몰들이 있습니다.

 

직구에 어느 정도 익숙해지셨다면, 다른 쇼핑몰에서도 필히 캐시백을 받으시길 추천드립니다.

 

 

다음 글에서는 캐시백 받은 금액을 환급 받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행복하고 현명한 직구생활 하세요 : )

 

질문이 있으시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답변드리겠습니다.

 

 

 

 

 

 

 

 

 

 

 

 

혹시 'EBATES(이베이츠)'라는 사이트를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

 

'EBATES(이베이츠)'는 해당 사이트를 경유해서 쇼핑몰에 접속 한 후 물건을 구입하면, 일정 %로 캐시백을 해주는 사이트입니다.

이런 캐시백 사이트는' EBATES(이베이츠)' 말고도 몇 곳이 있긴 한데요.

 

 

 

오늘은 아마존과 함께 이용하기에 좋은 EBATES(이베이츠) 사이트 이용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EBATES(이베이츠)는 한국 홈페이지도 있고 미국 홈페이지도 있습니다.

같은 EBATES(이베이츠)에서 운영하는 사이트지만 캐시백 해주는 쇼핑몰의 종류도 다르고 적립률도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직구를 하는 분들은 EBATES(이베이츠) 코리아보다 EBATES(이베이츠) 미국을 더 애용합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캐시백이 가능한 직구 쇼핑몰들이 EBATES(이베이츠) 미국 사이트가 훨씬 많습니다. 그리고 뿐만 아니라 캐시백 % 또한 미국이 더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이유는 EBATES(이베이츠) 코리아는 아마존에서 구입한 상품에 대한 캐시백을 해주지 않습니다.

 

 

 

EBATES(이베이츠) 코리아

'아마존 캐시백 적립 불가'

 

 

 

EBATES(이베이츠) 미국

'카테고리 마다 다르지만, 최대 5% 캐시백 적립'

 

 

이런 이유들로 인해서 우리는 EBATES(이베이츠) 미국 홈페이지에 가입하고 그곳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 그럼 가입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EBATES(이베이츠) 미국 사이트 가입하기

 

인터넷 검색창에 '이베이츠', '이베이츠 미국', 'EBATES' 등을 검색하시고, 클릭하시면 언제나 EBATES(이베이츠) 코리아 홈페이지가 열리실텐데요.

 

 

 

▲ 주소 마지막에 'kr'이 언제나 붙어 있을 겁니다.

 

EBATES(이베이츠)에서 한국의 이용자들이 EBATES(이베이츠) 미국 사이트 대신 코리아 사이트를 이용하도록 만들기 위한 조치인 것 같습니다.

 

그럼 아마존 캐시백이 가능한 EBATES(이베이츠) 미국 사이트 접속은 불가능한걸까요?

 

당연히 아닙니다.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 링크로 접속해주세요.

 

'EBATES(이베이츠) 미국 사이트'

 

그럼 다음과 같은 화면이 보이실 겁니다.

 

 

 

'Join Now'를 클릭 해주세요.

 

 

▲ 가입하실 이메일 주소를 입력해주세요.

그런 다음, 'Next'를 클릭 해주세요.

 

 

 

▲ 사용 하실 비밀 번호를 입력하시고,

바로 아래의 '로봇이 아닙니다.' 옆에 있는 네모 박스를 체크 해줍니다.

그리고 'Join Now'를 클릭해주세요.

 

 

 

 ▲ 끝! 입니다.

가입이 끝났습니다.

무척 간단하죠?

 

2. EBATES(이베이츠) 미국 사이트 접속하기

 

위의 방법대로 'EBATES(이베이츠) 미국 사이트'를 가입하셨다고 하더라도.

인터넷 검색창에 EBATES(이베이츠)를 검색하시면

또! EBATES(이베이츠) 코리아만 열리고 EBATES(이베이츠) 미국은 안열립니다.

 

'EBATES(이베이츠) 미국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위에서 설명 드렸던

 

'EBATES(이베이츠) 미국 사이트'

 

이 링크를 즐겨찾기에 등록해놓으시고 접속하는 방법니다.

 

그리고 두 번째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해주시면 됩니다.

 

 

 ▲ EBATES(이베이츠) 코리아 사이트에 접속 하시고

화면 맨 아래로 내려가주세요.

그리고 '이용약관'을 클릭해주세요.

 

 

 ▲ 화면 좌측 '자주 묻는 질문'을 클릭해주세요.

 

 

 ▲ 화면 우측 '이베이츠 영문사이트 문의'란에서

1번 질문을 클릭 해주세요.

(2번, 3번 질문을 클릭 하셔도 됩니다.)

 

 

 ▲ 초록색 글자로 적힌 '로그인 인증'을 클릭해주세요.

그 아래에 있는 다른 2개의 '로그인 인증'을 클릭하셔도 됩니다.

 

 

 ▲ 조금 전에 가입하셨던 '이메일 주소', '비밀 번호'를 입력해주세요.

그리고 바로 아래의 '로봇이 아닙니다.' 옆에 있는 네모 박스를 체크 해줍니다.

그리고 'Sign in'을 클릭해주세요.

 

 

 ▲ 그러면, 다시 이 화면이 뜨게 됩니다.

 

 

EBATES(이베이츠) 미국 사이트로 접속하는 방법을 정리해보면 2가지 입니다.

 

 

- 'EBATES(이베이츠) 미국 사이트링크를 즐겨찾기에 추가해놓기

- EBATES(이베이츠) 코리아의 자주 묻는 질문 게시판에서 '로그인 인증'을 통해서 접속하기

 

 

굉장히 번거롭네요.

그래도 이왕 아마존 직구하는 거 캐시백 적립이 되면, 충분히 겪어볼만한 번거로움 같습니다.

 

 

 

그럼 오늘은 여기서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EBATES(이베이츠) 미국 사이트를 이용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캐시백 환급 받는 방법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질문이 있으시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답변 드리겠습니다.

 

 

 

 

 

 

 

 

 

 

아마존에서 핫딜 상품을 찾을 때, 어떤 상품이 한국으로 직배송이 되는지 알고 싶으실 텐데요.

오늘은 그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미국의 배송대행지를 이용하지 않고 아마존에서 한국으로 바로 배송받는 직배송은 여러 가지 면에서 좋습니다.

 

- 지난 번에 말씀 드린 것과 같이, 한국의 인터넷 쇼핑몰에서 주문하는 것처럼 매우 간단하고 편합니다.

우리는 이미 앞선 '아마존 구입 요령 글'들을 통해서 한국 주소, 카드 번호, 개인 고유 통관 부호까지 모두 입력해놓아서 그냥 클릭 몇 번만 하면 주문이 완료됩니다. 정말 편합니다.

 

- 직배송은 배송대행지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배송 속도가 빠릅니다.

(심지어 어떤 때는 시기가 잘맞으면 한국보다 배송이 빠른 경우도 있습니다...)

 

- 무엇보다 주문한 상품에 대한 아마존의 엄청난 A/S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런 장점들 때문에 같은 종류의 상품들이라도 직배송이 되는 제품을 찾는 것이 매우 좋습니다.

 

그럼 이제 직배송이 되는 상품을 찾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1. 상품 검색 화면에서 찾기.

 

먼저 아마존에 로그인을 해주세요.

 

그런 다음 검색창에 원하시는 상품을 검색합니다.

저는 괜찮은 '베개'를 구입해볼까 싶어서 검색을 해봤습니다.

 

그럼 다음과 같은 화면이 보이실 텐데요.

 

 

 

 

여기서 화면 좌측에 보시면,

 

'Refine by'라는 글자가 있고 그 아래에 빨간 박스 안에 있는

 

'International Shipping'

'Ship to Korea, Republic of' 라는 글자가 보입니다.

 

글자 앞에 있는 네모 박스를 '체크'해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자동으로 새롭게 검색을 한번 더 하게 되는데요.

조금 후에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뜨게 됩니다.

 

 

 

 

그러면 검색 결과에 뜬 상품들 아래에 새로운 설명이 추가된 걸 확인하실 수 있게 됩니다.

 

'Eligible for Shipping to Korea, Republic of' : 한국을 직배송이 되는 제품

 

이렇게 원하시는 상품을 검색하시고 한 단계만 거치시면,

검색한 제품들을 중에 어떤 제품이 직배송이 되는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상품 상세 페이지에서 직배송 여부 확인하기

 

이미 구입할 상품은 정해졌는데, 이 제품이 직배송이 가능한지 궁금하신 분들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간단히 확인이 가능합니다.

 

상품 상세 페이지 입니다.

사실 이 부분은 앞서 제가 올려드린 '아마존 상세 상품 페이지 알아보기 ①'을 읽어 보신 분들은 이미 알고 계신 부분입니다.

 

(이 글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해외 직구/아마존 구입 요령] - 6. 아마존 상품 상세 페이지 알아보기 ①

 

 

 

 

바로, 위 사진에서 보이는 빨간 박스를 확인해주시면 됩니다.

 

이 박스 안에

'+ $21.04 Shipping & Import Fees Deposit to Korea, Republic of' 라는 글자가 써있다면, 직배송이 가능한 상품입니다.

('+' 다음에 있는 금액은 상관이 없습니다. 이건 직배송 비용을 적어놓은 것입니다.)

 

그런데 만약, 이 박스 안에 아래 사진과 같이

 

 

 

 

'This item does not ship to Seoul-si, Korea; Republic of (South Korea). Please check other sellers who may ship internationally.'라고 적혀 있다면, 그 상품은 직배송이 안되는 상품입니다. 배대지를 이용하셔야 합니다.

 

3. 주문 과정에서 확인하기

 

이제 마지막 방법인데요.

사실 이건 방법이라기 보다는 어쩔 수 없이 알게 되는 방법입니다.

 

만약 어떤 상품을 장바구니에 상품을 넣고, 입력해 놓은 한국 주소를 클릭하셨는데.

다음과 같은 화면이 보이신다면...

 

 

 

 

무언가 심각한 문제가 생긴 듯한 낯선 화면입니다.

 

네, 맞습니다. 이 화면은 구구절절 무언가를 많이 써놓았지만

한마디로, 한국으로 배송할 수 없는 상품입니다.라고 써놓은 것입니다.

 

Continue를 누르셔도 다시 이 화면이 뜨게 됩니다.

 

이 방법은 앞서 말씀드린 2가지의 방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상품을 구입하게 될 때 확인되는 방법입니다.

앞선 방법들이 귀찮다면 마지막 3번째 방법을 이용하셔도 됩니다. : )

 

 

 

 

여기까지가 아마존에서 한국 직배송 상품 찾는 방법입니다.

위의 방법들을 잘 사용하셔서 원하시는 제품을 '직배송'으로 구입하시길 바랍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세요. 답변 드리겠습니다!

 

 

 

 

 

 

 

 

 

 

오늘은 지난 번 '아마존 상품 상세 페이지 ①'에서 다루지 못하고 남겨 두었던 부분을 마저 다루려고 합니다.

 

지난 번에 함께 살펴보았던 상품 페이지를 계속해서 보겠습니다.

 

얼마 전에 핫딜로 올려드렸던, SteelSeries Arctis 7 - black 제품입니다.

 

 

1. 지난 번에 살펴 보셨던 부분에서 조금만 아래로 내려오면 보이는 부분입니다.

 

 

 

 

Frequently bought together : 최근에 이 상품과 함께 구매된 상품을 보여주는 부분입니다.

함께 구입하면 좋을 법한 제품들이 나오는데요. 그런데 전 여기서 추천해주는 제품을 구입해본 적은 한번도 없습니다.

왜냐하면, 추천되는 제품의 구성이 나쁘진 않지만, 그 제품의 가격이 썩 좋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그렇습니다.

그래도 참고해 놨다가 추후에 가격이 좋아지면 따로 구입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 )

 

What other items do customers buy after viewing this item? : 이 부분은 구매자들이 이 상품을 보고 나서 구입했던 제품이 뭐였는지를 보여주는 부분입니다. 쉽게 말하면 이 제품과 경쟁하는 제품이 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제품들을 보여 주는 부분이지요.

이 부분을 통해서 더 좋은 제품을 구입할 수도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Special offers and product promotions : 이 부분은 가끔 판매자가 특별 할인 코드를 넣어놓거나 지금처럼 '아마존 제휴 카드' 할인을 보여주는 부분입니다.

제휴 카드 할인 부분은 한국에 사는 우리에겐 해당사항이 없으니 그냥 넘어가시면 됩니다. 대신 특별 할인 코드를 써놨다면, 마지막 결제 화면에서 필히 입력하시고 추가 할인 받으시길 바랍니다.(그런데, 어느 정도 가격이 나가는 제품에서 특별 할인 코드를 본적이 몇 번 없습니다....)

 

Have a question? : 이 부분은 상품과 관련해서 기존에 올라온 질문과 답변 그리고 제품 리뷰 가운데서 자신이 궁금한 내용을 검색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예를 들어 제품의 사이즈와 관련된 것이 궁금하시면 'size' 입력하시고, 색상과 관련된 것이 궁금하시면 'color'라고 입력하시면 됩니다.

유용한 기능입니다.

 

From the manufacturer : 이 부분은 제품의 생산자, 다시 말해 제품의 브랜드에서 게시하는 정보입니다. 쉽게 생각하면 옥션이나 지마켓의 상품 정보에 나오는 제품 설명 사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2. 그럼 계속해서 조금 더 아래로 내려 가보겠습니다.

 

 

 

 

 

가장 먼저 눈에 뛰는 부분은 비슷한 제품들을 비교하고 있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은 바로 위의 'What other items do customers buy after viewing this item?'과 유사한 부분인데요.

제품명 뿐만 아니라 상세 스펙까지 한눈에 비교할 수 있어서 더욱 유용합니다.

비교를 하시다가 제품에 대해 궁금하시면 해당 제품의 사진을 클릭하시면 그 제품의 상세 페이지로 이동하게 됩니다.

 

Product description : 제품에 대한 간략한 설명이 적힌 부분입니다.

이미 위에서 충분히 확인했고 또 바로 아래에서 조금 더 쉽게 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냥 넘기셔도 됩니다.

 

Product information : 제품에 대한 중요한 정보들이 적힌 곳입니다.

저는 이 부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데요. 왜냐하면, 국내에서 구입할 순 없고 그래서 실제 제품에 대한 정보가 매우 적을 때, 이 부분이 큰 도움이 됩니다.

제품의 크기, 무게, 배송 무게, 품질 보증, 메뉴얼 등의 정보가 모두 확인 가능합니다.

제품 마다 이 부분의 내용은 다르지만 어느 제품이든 이 부분을 한번 쯤 확인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나중에 배대지를 이용하시게 되면, Product Dimensions(제품 크기), Item Weight(제품 무게), Shipping Weight(배송 무게)를 미리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이것이 100% 정확하진 않지만, 배대지에서는 무게와 부피를 가지고 배송비를 측정하기 때문에 대략적인 배송비를 예상할 수 있기에 과다 청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3. 조금 더 내려가 보겠습니다.

 

 

 

 

 

여기서는 3가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Related Video Shorts :  제품의 영상 소개 혹은 영상 리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사실 이 부분은 유투브에서 제품명만 검색해도 충분히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라서 큰 매력이 있진 않지만 유투브를 검색하기 귀찮은 그런날에는 매우 유용합니다.

또 원하시면 영상을 업로드 하실 수도 있습니다. 'Upload your video'를 클릭해주세요.

 

Customer questions & answers : 이 부분이 매우 유용합니다.

이미 말씀 드렸던 부분인데요. 구매자들과 구매 예정자들 그리고 판매자의 질문과 답변이 모여 있는 곳입니다.

 

앞서 'Have a question?' 부분에서 그랬던 것 처럼 궁금하신 것들의 핵심 단어를 입력하셔서 검색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생각보다 나랑 비슷한 고민을 하시는 분들이 많고 그래서 그 고민이 잘 해결됩니다!

 

Customer reviews : 아마존의 리뷰는 잘만 활용하면 큰 도움이 됩니다.

이 제품만 보더라도 가장 중요한 부분인 배터리 사용 시간, 소리의 질, 제품의 마감에 대한 평가를 바로 확인해 놓을 수 있게 했습니다.

 

그리고 구매자들의 리뷰 가운데 언급되는 핵심 단어를 모아둬서 그걸 클릭하면 바로 리뷰들을 확인할 수 있게 해줍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구매자들의 사진 리뷰가 매우 유용합니다.

Customer images를 클릭하시면 큰 화면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4. 자, 이제 스크롤을 조금만 더 내려서 마지막 부분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Set up an Amazon Giveaway : 이 부분은 그냥 넘어가시면 됩니다. 추후에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 )

 

Customers who viewed this item also viewed : 이 제품을 보는 사람들이 함께 본 제품들을 소개해줍니다. 제품 사진을 클릭하시면 해당 제품 상세 페이지가 열립니다.

 

Your recently viewed items and featured recommendations : 최근에 여러분이 보신 제품들과 추천 제품들이 보여지는 곳입니다.

 

Inspired by your purchases : 여러분의 구매 스타일을 고려한 추천

 

Recommendations for you : 여러분을 위한 추천

 

마지막 부분은 사실 말만 다르지 그냥 계속 더 많이 사라는 아마존의 유혹이 가득차 있는 부분입니다.

그래도 한번 쯤 보는 것 도움이 되긴 합니다. 아이 쇼핑하는 기분이랄까요?

(물론, 제 지갑에는 도움이 되진 않지만요. 전 항상 이 부분을 아무 생각없이 보다가 갑자기 필요도 없었던 물건들이 사고 싶어져서 과소비를 많이했습니다... 조심하세요. 여러분)

 

 

 

 

 

 

 

 

자. 이렇게 아마존 상품 상세 페이지를 모두 알아보았습니다.

설명을 해드려야 하다보니 모든 내용을 다 다루었지만, 사실 상품을 구입하시기 전에 확인하셔야 하는 부분은 그렇게 많지 않습니다.

 

간단히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제품명, 옵션, 제품 가격, 배송비, 재고여부'를 확인합니다.

그리고 '판매자'를 확인해주세요. 아마존 셀러라면 $90 무료 배송 이벤트를 꼭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제품 상세 정보, 질문과 답변, 리뷰'를 한번 확인하시면 됩니다.

 

이상입니다!

 

그럼 모두 여러분이 원하시는 제품을 찾으셔서

좋은 가격에 행복한 직구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오늘 글을 여기서 마무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댓글을 달아주세요. 답변 드리겠습니다!

 

 

 

 

 

이번 글은 앞서 올려드린 아마존 기프트 카드 이벤트에 당첨되신 분들에게 필요한

기프트 카드 구입하기에 관한 글입니다.

 

기프트 카드 이벤트에 당첨되신 분들 아래 순서를 따라 구입하시면 되겠습니다.

(물론! 이벤트에 당첨되지 않으셨어도 기프트 카드 구입은 가능합니다. 혹시나 구입을 원하신다면 참고하셔도 되겠습니다^^)

 

 

 

자,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기분 좋게 당첨 되셨다고 알려주는 페이지에서 부터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위의 화면에서 빨간 박스에 보이는

'Click to add the code to your account'를 클릭해주세요.

 

그러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뜹니다.

 

 

그럼, 이제 기프트 카드를 구입하러 가겠습니다.

위의 사진에서 좌측 상단에 있는 'Gift Cards'를 클릭해주세요.

 

그러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eGift'를 클릭해주세요.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는 특별한 건 없습니다.

 

 

1. Gift card design : 기프트 카드 디자인인데요. 선물할게 아니니 그냥 Standard로 합니다.

그리고 아래 그림은 아무구나 선택하시면 됩니다.

 

2. Gift card details : 여기가 조금 중요한데요.

Amount : 구입 금액, $50 이상 $10 추가 지급 이벤트니깐 최고의 가성비는 $50입니다. $50 클릭해주세요.

Delivery : 기프트카드 배송 방법인데요. 우리는 한국에 살고 있으니깐 이메일이 가장 좋습니다.

To : 받는 사람 이메일을 써주세요. 내가 쓸거니깐 내 이메일 주소를 쓰면 됩니다.

(주소 확인을 꼭 한번 씩 더 해주세요^^)

그 아래 있는 것들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기본 설정으로 그냥 두면 됩니다.

 

그리고 화면 좌측에 있는

'Add to cart(장바구니로)' 혹은 'Buy Now(바로 구매)'를 클릭해주시면 됩니다. 

 

전 장바구니로 넣어봤습니다.

혹시 로그인을 하라는 화면이 뜬다면, 로그인을 해주시면 됩니다.

 

그럼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뜨게 됩니다.

'Proceed to checkout (1 items)'을 클릭해주세요.

 

 

자, 그럼 여기서는 두 가지만 확인하면 됩니다!

 

 

먼저는 내가 결제하고자 하는 카드가 맞는지 카드 끝 번호유효기간을 확인해주세요.

 

그리고 지난 '아마존 결제하기' 글에서 설명을 드렸듯이

'Your Credit and debit cards'에서 원화 결제인지 아닌지를 꼭 확인해주세요.

 

쉽게 설명 드리면, 위 사진의 좌측 빨간 박스와 같이

My card is in U. S. Dollar (USD)라고 나와 있어야 합니다.

 

아니라면, 아래 글로 가셔서 확인 하셔서 수정해주시기 바랍니다.

(정말 중요합니다. 안그러면 쓸데없이 비싸게 구입하시게 됩니다.)

 

[해외 직구/아마존 구입 요령] - 4. 아마존 - 구입하기

 

확인이 되셨으면 이제 'Continue'를 클릭해주세요.

 

이제 거의 끝이 났네요.

 

 

이제는 우측 가운데 있는 빨간 박스에서 최종 결제 금액($50)를 확인합니다.

 

그리고 혹시 모르니 화면 하단에 있는 구입 상품 정보에서

구입하려는 기프트 카드 금액과 받는 이메일 주소, 수량을 확인해봅니다.

 

상단의 빨간 박스를 보니깐

이벤트 당첨으로 추가 지급될 $10 는 기프트 카드가 발송되고 3일 이내에 여러분의 아마존 계정에 등록된다고 합니다.

추가 지급액은 등록되었다고 따로 알림이나 이메일로 연락이 가진 않습니다.

그래서 확인하는 방법은 조금 번거롭지만

아무 상품이나 장바구니에 담아서 최종 결제 단계(위 사진의 단계)까지 가보시면,

'Oder Summary' 'promotional credit'라는 이름으로 $10가 추가되었는지를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여러분이 지금 구입하신 기프트 카드와 추가 지급액은 현금처럼 사용이 가능하고

결제하실 때 가장 우선적으로 사용이 됩니다.

이용하실 때 참고해주세요 : )

 

모두 확인이 되셨으면

'Place your order'를 클릭해주세요.

 

 

 

 

자. 그럼 이제 끝났습니다.

 

이벤트에 당첨되셔서 기프트 카드를 구입하신 분들께 다시 한번 축하를 드립니다.

 

아울러, 그냥 기프트 카드를 구입하신 분께도 첫 기프트 카드 구입을 축하드립니다.(다음 달에는 꼭 당첨되시길 바랍니다! 절 포함해서요!!)

 

그럼 즐거운 쇼핑 되시고,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을 남겨주세요.

 

 

 

 

 

 

오늘은 '아마존 상품 상세 페이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글을 읽으실 정도라면, 아마존 회원 가입과 결제, 개인 통관 고유 부호 발급까지 아마존 직구의 기본은 충분히 익히신 분들이실 텐데요.

 

아마존 직구에 두려움이 사라지면, 누군가 알려주는 핫딜 상품이 아닌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찾아서 구입하고 싶으실 겁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아마존 상품 상세페이지에 대한 이해입니다. : )

 

이미 몇 번 구입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아마존 상품 상세페이지의 모습은 국내 온라인 몰의 상품 상세 페이지와는 많이 다른 모습을 보여줍니다.

 

국내는 글보다는 화려하고 가득찬 사진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미국 아마존은 사진도 그리고 글도 얼마 없습니다. 정말 최소한의 정보만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리고 거기다 그 모든 것이 다 영어입니다.

 

하지만, 조금만 알면, 미국 아마존의 상품 상세페이지도 특별할 것 없는 곳임을 알게 되실 겁니다 : )

 

 

 

 

얼마 전에 핫딜로 올려드렸던, SteelSeries Arctis 7 - black 제품입니다.

 

이 제품을 구입하기 위해 아마존 상품 페이지로 들어가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올 텐데요.

 

3구역으로 나누어서 보면 쉬울 것 같습니다.

 

1. A 구역

 

여기는 설명 안드려고 아시겠지만, 상품 사진입니다.

 

왼쪽 작은 사진 맨 아래 부분에 '추가 사진'이 있거나 위의 사진에서 보시는 것 처럼 '영상'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클릭하시거나, 마우스를 올려보면 사진이 확대되는 걸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2. B 구역

 

여기에서는 조금 설명 드릴 부분이 많이 있는데요.

이 부분만 확대 해서 살펴보겠습니다.

 

 

B 구역의 맨 위에 있는 부분입니다.

여기에서 확인해야 하는 정보는 3가지 입니다.

 

가장 먼저는 

 

'SteelSeries Arctis 7 Lag-Free Wireless Gaming Headset with DTS Headphone:X 7.1 Surround for PC, Playstation 4, VR, Mac and Wired for Nintendo Switch, Android and iOS - Black' : 상품명입니다.

 

구입하시고자 하는 상품이 맞는지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그 바로 아래에 있는

 

'by SteelSeries' : 이 제품의 판매자입니다.

 

위의 사진에서는 'SteelSeries'라고 나와있네요.

만약, 이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의 또 다른 상품이 뭐가 있는지 궁금하시다면, 'by' 옆에 있는 파란 글자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그 바로 아래

 

별 5개가 있습니다.

네, 짐작하시는 그것이 맞습니다. 평점입니다.

 

그리고 바로 그 옆에 있는

 

'1,259 customer reviews' : 이 제품을 구입한 사람들의 리뷰 갯수입니다.

 

이 제품은 1,259개의 리뷰가 있네요. 클릭하시면 올라온 리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상품 상세 페이지 아래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마지막으로 그 아래에 있는

 

'327 answered questions' : 이 상품에 대한 답변이 완료된 질문이 몇개나 있는 지를 표시한 것입니다.

 

이 상품은 327개의 답변된 질문이 있네요.

한국에서도 그렇지만, 특히 아마존에서 저는 다른 사람들에게 큰 인기가 없고 그래서 정보가 없는 제품을 구입할 때는 상품 리뷰와 함께 이 질문과 답변 부분을 한번씩 확인해봅니다. 그러면 제가 궁금했던 것을 질문하고 그에 대한 답변이 올라와 있는 경우가 많아서 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여러분들도 정보가 많이 없는 제품을 구입하실 때에는 이 부분을 한번 쯤 참고해보시는 것도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이 부분도 역시 클릭하시면 답변이 완료된 질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상품 상세 페이지 아래에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 외에 있는 것들은

최고의 판매자라는 것과 이 상품의 카테고리 입니다.

 

그럼 이어서 그 아래 부분을 보겠습니다.

 

 

List Price:  $149.99   
Price: $128.10 + $10.60 Shipping & Import Fees Deposit to Korea, Republic of  Details   

You Save: $21.89 (15%)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List Price : 할인 전 원래 가격

Price : 할인된 가격 + 한국으로의 배송비와 관세, 부가세

You Save : 할인 금액(할인 %)

 

입니다. 간단하지요? : )

 

그리고 바로 아래에는 옵션이 있습니다.

이 제품 같은 경우에는 'color', 'style' 두 종류의 옵션이 있습니다.

원하시는 옵션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주의 하셔야 하는 것은 선택하는 옵션에 따라 가격이 달라질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옵션을 선택하시고, 처음 구입하려고 하셨던 가격이 맞는지도 꼭 한번 확인해주세요.

 

 

여기는 사실 크게 신경쓸게 없습니다.

 

제품의 스펙에 대한 설명이 있고

 

그 아래에 있는 

 

'Used & new (9) from $119.95 & FREE shipping. Details'중고 상품과 현재 판매자 말고 다른 판매자의 상품을 보는 것입니다.

이 상품들은 최저 $119.95 부터 시작한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Report incorrect product information.'잘못된 상품 정보를 알려달라는 건데요. 우린 그냥 넘어가시면 되겠습니다

 

 

 

 

이 부분은 중요합니다.

 

'There is a newer version of this item' 이라고 나와 있는데요.

 

이게 뭐냐하면, 현재 보고 있는 상품의 최신 버전을 소개해주는 것입니다.

굉장히 좋은 기능입니다.

 

저도 이 기능을 종종 이용하는데요.

하지만 최신 기종이라 하더라도 성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았거나 가격이 너무 비싸면 오히려 구형 기종을 사는 것도 좋은 소비이기에 현명한 선택을 하시면 됩니다.

클릭하시면 그 상품 상세 페이지로 넘어갑니다.

 

3. C 구역

 

자, 이제 C 구역입니다.

C 구역도 위에서부터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BUY NEW' $128.10 : 새 상품을 $128.10에 산다는 것입니다.

 

+ $10.60 Shipping & Import Fees Deposit to Korea, Republic of  : 한국까지 배송비와 관세, 부가세 총합이 $10.60 이라는 것입니다.

 

이와 관련해서 바로 아래 Details를 클릭하시면 상세하게 나와있습니다.

 

그 아래에 긴 영어 문장은 약간의 상술인데요.

쉽게 말하면, Sept, 6(9월 6일)까지 이 상품을 받고 싶으면, 5hrs 32mins(5시간 32분) 안에 주문하고 배송 옵션은 'AmazonGlobal Priority Shipping'을 선택해라 입니다.

뭔가 빨리 사야할 것 만 같은 기분이 들게 하네요.

 

 

In Stock. : 재고가 있다는 것입니다.

만약, 이 부분에 'In Stock'말고 다른 글자가 쓰여져 있다면, 품절이거나 판매가 중지된 제품입니다.

그러니 필히 'In Stock'이라 적혀 있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Ships from and sold by Amazon.com. : 이 부분은 배송과 포장 전부 아마존에서 한다는 것입니다.

제품에 따라서는 배송자와 판매자가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중요하지 않지만, 최근에 핫이슈인 $90 무료 배송 이벤트를 하기 위해서는 이 부분이 꼭 위의 사진과 같이 아마존이 배송과 판매 전부를 해야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Gift-wrap available : 선물 포장 가능

 

 

 

 

 

이번 게시글에서는 '미국 신발 사이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늘 핫딜로 구두를 소개해드렸는데, 생각해보니 미국 신발 사이즈에 대해 말씀을 드리는 게 도움이 될 것 같아서 글을 씁니다 : )

 

 

기본 적인 미국 신발 사이즈와 한국 신발 사이즈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남성

 

한국

 245

250 

255 

260 

265 

270 

 275

280 

285 

290 

295 

300 

미국

 6.5

7.5 

8.5 

9.5 

10 

10.5 

11 

11.5 

12 

(* 모바일 여러분, 옆으로 밀어주세요.)

 

2. 여성

 

 한국

220

225 

230 

235 

240 

245 

250 

255 

260 

265 

270 

 미국

5.5 

6.5 

7.5 

8.5 

9.5 

10 

(* 모바일 여러분, 옆으로 밀어주세요.)

 

3. 아동

 

한국

80 

85 

90 

95 

100 

105 

110 

115 

120 

125 

130 

미국

2

2.5

3

3.5

4

4.5

5

5.5

6

6.5

7

 

한국

135 

140 

145 

150 

155 

160 

165 

170 

175 

180 

185 

미국

7.5 

8.5 

9.5 

10 

10.5 

11 

11.5 

12 

12.5 

 

한국 

200 

205 

210 

215 

220 

225 

230 

235 

240 

245 

250 

미국 

1.5 

2.5 

3.5 

4.5 

5.5 

(* 모바일 여러분, 옆으로 밀어주세요.)

 

한 가지 주목하셔야 하는 부분은 아동용 신발 사이즈입니다.

아동용 신발 사이즈의 경우에는 200부터는 1부터 새롭게 사이즈가 매겨집니다.

 

 

그리고 여기서 한 가지를 더 알면 도움이 되는데요.

 

바로 발 볼 사이즈 입니다.

발 볼 사이즈 같은 경우에는 조금 다양한 방식으로 표기 되고 있어서 조금 헷갈리기도 한데요.

사용되고 있는 사이즈를 모두 모아서 한번에 정리해보았습니다.

 

발 볼 길이

표기 사이즈

9cm 미만

A, B, N, S

9cm~10cm

B, M, C, D

10cm 초과

D, E, W

 

 

위의 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사이즈가 겹치는 부분도 있습니다.

정해진 하나의 기준이 있는게 아니라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어서 그렇습니다.

 

그러니, 이 부분도 고려 하셔서 구입하시면 되겠습니다.

 

 

 

이상으로 '미국 신발 사이즈' 설명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질문이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앞선 아마존 구입 요령 글들에서 관세와 부가세 이야기를 잠시 했었는데요.

 

이전 글에서는 간략하게 $200 이하일 때 관세, 부가세가 없다고 말씀드렸는데,

이번 글에서는 조금 더 자세하게 관세, 부가세 면제에 대해 말씀 드릴까 합니다.

 

 

1. 구입하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관세, 부가세의 면제 기준이 다르다.

 

구입하는 제품의 종류에 따라 통관 절차가 달라집니다.

 

* 통관 절차 : 화물이 외국에서 한국으로 들어오는 것을 허가하기 위한 세관의 검사 절차

 

통관 절차 종류에는 '목록 통관'과 '일반 통관' 이렇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목록 통관에 해당하는 제품은

대부분의 제품으로 의류, 주방, 가전, 생활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일반 통관에 해당하는 제품은

쉽게 입으로 들어가는 것들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동물이든 사람이든 입으로 들어가는 음식, 의약품, 기능성 화장품 등이 있습니다.

 

결국 정리해보면,

일반 통관에 해당하는 화장품이나 음식, 의약품을 제외한 대부분의 제품은 목록 통관에 해당합니다.

 

 

그럼 통관 종류에 따른 면세 기준을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아마존에서 한국 직배송 상품 구입 기준)

 

목록 통관 : 상품 가격 $200 이하

 

일반 통관 : 상품 가격 $150 이하

 

입니다.

 

 

쉽게 말하면, 일반적인 제품을 구입 할 때 제품 가격이 $200 까지는 관세와 부가세가 없습니다.

(그래서 제가 추천 제품이나 핫딜을 올릴 때 항상 $200 이하로 올리는 것입니다.)

 

그리고 한국 직배송이 되는 제품 중 화장품, 음식, 의약품을 구입하게 되면 $150 까지는 관세와 부가세가 없습니다.

 

 

 

2. 목록 통관에 해당하는 제품과 일반 통관에 해당하는 제품을 동시에 구입하면 어떻게 될까?

 

이때는 일반 통관으로 통관 절차가 진행됩니다.

즉, 관세, 부가세 면제 기준이 $200 가 아니라 $150 가 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본다면,

SSD와 가방 구입 가격이 총 $180 라면, 목록 통관 기준($200) 이하이기 때문에 관세, 부가세가 면제됩니다.

반면에, SSD와 가방, 초콜렛 구입 가격이 총 $190 라면, 일반 통관 기준($150) 이상이기 때문에 관세, 부가세가 부과됩니다.

 

그러므로 구입하시는 제품들이 어떤 통관 절차를 거치게 되는지 꼭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3. 관세와 부가세가 꼭 면제되어야 할까?

 

직구를 하시면서 기억해야 하는 것은 관세, 부가세가 부과되는 것이 나쁜 것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아무리 할인을 해도 $200 가 넘는 제품들도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면제 되는 것이 좋다는 것이지, 무조건 면제 되어야 된다는 것은 아닙니다.

 

 

4. 미국을 제외한 나라의 관세, 부가세 면제 기준

 

앞서 말씀드린 관세, 부가세 면제 기준은 미국 기준이었습니다.

그럼 나머지 나라의 기준은 어떻게 될까요?

 

(한국 직배송 상품 구입 기준)

 

목록 통관 : 상품 가격  $150 이하

 

일반 통관 : 상품 가격  $150 이하

 

미국을 제외한 모든 나라는 목록 통관, 일반 통관 모두 동일한 기준이 적용됩니다.

 

 

5. 직배송이 아닌 제품을 구입할 때 관세, 부가세 면제 기준

 

직배송이 안되는 제품을 구입할 때가 조금 복잡합니다.

 

직배송이 안되면, 구입하려는 국가의 배송 대행 업체를 이용해야 합니다.

(미국은 당연하고, 일본, 중국, 영국 등 많은 나라에 다양한 배송 대행 업체들이 있습니다.)

 

배송 대행 업체를 통한 직구 절차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a. 아마존에서 원하는 제품을 구입한다.

b. 배송지를 자신이 이용 할 배송 대행 업체 주소로 한다.

c. 구입 비용으로 '상품 가격+배송비+세금'을 지불한다.

d. 배송 대행 업체로부터 구입한 제품이 도착했다는 연락을 받는다.

e. 배송 대행 업체에서 한국의 내 집으로 제품을 보내는 배송비를 책정하고 지불한다.

f. 제품 종류에 따른 목록 통관 혹은 일반 통관 절차를 거치고, 관세와 부가세를 면제 혹은 부과한다.

g. 관세, 부가세가 부과되면 지불한다.

h. 집으로 물건을 배송 받는다.

 

과정이 다소 복잡해 보입니다.

 

그런데 오늘 우리가 주목할 부분은 관세, 부가세 면제 기준이니 거기에만 집중해보겠습니다.

직배송이 아닌 제품을 구입할 때, 관세, 부가세 면제 기준이 되는 금액은 바로 'b 단계'에서 지불한 금액입니다.

 

- 아마존에서 구입한 상품 가격과

- 이용하는 미국에 있는 배송 대행 업체까지 상품을 보내는 배송 비용,

- 마지막으로 미국에 있는 배송 대행 업체가 위치한 주에서 부과하는 세금

 

이 세 가지를 합친 금액이 한국으로 제품이 들어올 때 관세, 부가세 면제 기준 금액이 됩니다.

 

결국, 배송 대행 업체에게 지불한 미국에서 한국의 내 집까지 보내는 배송비는 얼마가 나오든 관세, 부가세 면제 기준 금액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제 막 직구에 발을 들이신 분들은 가급적이면 한국으로 직배송 되는 제품을 구입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몇 번 해보면 익숙해져서 어렵지 않지만, 막상 처음 하려면 헷갈리기 때문입니다.

 

이 부분은 추후에 다룰 '배송 대행 업체 이용하기' 글에서 조금 더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이번 글은 이쯤에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답변 드리겠습니다.

 

 

 



+ Recent posts